[3.9] 삼차원 상의 평면의 방정식 : 네이버 블로그
수학 공식
법선 접선 영어로 의 방정식 뜻
ㄱ 식을 유도하던대로 유도하시면 됩니다.
하나는 그 평면을 지나는 점 P0 x0, y0, z0 를 적어도 하나 알아야 합니다.
물론 법선벡터에 스칼라곱을 해도 상관없다.
왜 굳이 t의 부호를 남겨두고 싶어했을까? 이 점이 첫 번째 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었습니다.
정보 이론• 그다음 벡터 의 끝점, 다시 말해서 점 P0를 시작점으로 하는 평면 위의 두 벡터 , 를 잡아봅시다.
아래의 사진을 보시죠.
ㄱ 역으로 임의의 두 실수 s, t에 대해서 점 P의 위치벡터의 식이 위를 만족할 때 점 P가 그리는 자취는 원점을 지나고 두 벡터 , 에 의해 결정되는 평면이 된다는 것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.
그러니까 위의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공식에 넣어보죠.
두 번째 방식은 매개변수방정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매개변수 s, t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.
.
식 1 과 식 2 를 비교해보면 그린 정리는 선적분과 중적분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는 반면, 스토크스 정리는 선적분과 면적분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.
.